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양도 소득세 개정 내용 총정리

by MoonE1 2025. 7. 1.

📘 2025년 양도소득세 개정 내용 총정리

✅ 1. 개요 – 양도소득세란?

  • **개인의 부동산, 주식, 파생상품, 권리 등의 양도로 발생하는 차익(이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 토지, 건물, 분양권, 주식(비상장 포함), 임차권, 장기임대주택도 과세 대상.
  • 단, 1세대 1주택 비과세, 장기보유특별공제 등 예외 조항에 따라 면세 가능.

🏡 2. 2025년 주요 개정 포인트

🔹 1) 주택 용도변경 관련 과세 기준 명확화

  • 주택 → 상가 등 용도변경된 후 매각 시, 양도세 과세 기준 정비.
  • 매매계약 체결일 당시 주택인지 여부로 판단.

🔹 2) 장기임대주택 거주주택 양도세 비과세 횟수제한 완화

  • 기존엔 거주주택 1회 한정 비과세 → 비과세 횟수 제한 폐지
  • 임대 후 본인이 실거주한 주택은 2년 이상 거주 후 비과세 적용 가능

🔹 3) 장기임대주택 전환 후 비과세 조건 통합

  • 기존: 전용 85㎡ 이하·2억 이하 기준 엄격 → 개정: 2년 이상 실거주 시 비과세 적용
  • 양도 시점 기준으로 과세여부 판단

🔹 4)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적 배제 연장

  • 기존 유예 기한: 2025.5.9 → 2026.5.9로 1년 연장
  • 대상: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이상 보유자

🔹 5) 단기민간임대주택 양도세 중과 제외 조건 명확화

구분건설형매입형
사업자등록 필요 필요
임대기간 최소 6년 최소 6년
공시가격 상한 6억 원 이하 수도권 4억, 비수도권 2억
면적 기준 연면적 149㎡ 이하 해당 없음
임대료 증액률 5% 이하 5% 이하
적용시기 ‘25.2.28 이후 등록 ‘25.6.4 이후 등록

💰 3. 비과세 요건 & 절세 전략 변화

항목기존 제도2025년 개정

 

1세대 1주택 비과세 2년 이상 보유·거주 혼인 시 10년 내 처분 시 비과세
상생임대주택 비과세 요건 엄격 2026.12.31까지 연장
장기보유특별공제 최대 80% 공제 주택 수·보유기간 따라 차등
미분양주택 특례 없었음 2025년까지 6억 이하 미분양 취득 시 비과세 가능

📊 4. 신고 및 납부 유의사항

  • 부동산 양도일 기준 2개월 내 예정신고 필수 (양도세 확정신고: 다음 연도 5월)
  • 미신고 시: 무신고가산세 20% + 납부지연 가산세 0.022%/일
  • 2천만 원 초과 세액은 분할납부 가능 (최대 2개월 내)


🔁 5. 비과세 및 감면 주요 사례

구분설명
1세대 1주택 비과세 2년 이상 보유 + 거주 시 양도세 없음
장기임대 후 거주주택 2년 이상 실거주 후 양도 시 비과세
공동 소유 토지 단순 분할 불가, 지목 변경 등 실질 양도일 경우 과세
상속주택 포함 일시적 2주택·상속받은 주택은 특례 적용 가능
 

🧾 6. 투자자 실무 TIP 요약

  • 매매계약일 기준으로 용도(주택 여부) 판단됨을 명심
  • 임대사업자는 등록·임대기간·임대료 기준을 반드시 충족해야 중과 배제 가능
  • 장기임대 등록 후 거주하는 경우 비과세 확대 가능성 활용
  • 혼인·상속 등 가족사 이벤트 발생 시 양도 시점 조정 중요
  • 세무사 상담을 통한 비과세 증빙자료 확보는 필수!

📌 정리하자면, 2025년 양도소득세는 규제는 강화되었으나 ‘혼인, 임대, 실거주’ 중심의 합리화와 유예 조치가 동시에 적용된 개정입니다. 이를 전략적

으로 활용하면 절세에 매우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