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총정리 (+ 신청방법, 기간)

by MoonE1 2025. 7. 7.

 

요즘 청년 재테크 관심 있으신 분들 사이에서 **“청년도약계좌”**는 빠지지 않는 키워드죠.
특히 2025년부터 기여금이 최대 33,000원으로 파격 인상되고,

비과세 혜택 + 신용점수 가점까지 더해져 연 9.54% 수익률

가능한 고효율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최신 가입조건, 신청 방법, 정부 기여금 기준,

그리고 주의할 점까지 2025년 기준으로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1. 청년도약계좌란?

  • 정부가 만 19세~34세 청년의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만든 5년 만기 자유적립식 저축계좌
  • 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
  • 정부가 소득 구간에 따라 기여금을 더해주는 방식
  • 가입 시 이자소득세 전액 비과세, 일정 조건 충족 시 신용점수 가점 제공

🎯 2. 가입조건 (2025년 기준)

📌 나이 요건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군 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나이에서 제외 가능

📌 개인소득 요건

  •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육아휴직급여, 군 장병급여는 비과세소득으로 소득에서 제외됨
  • 소득 확인이 어려운 경우, 전전년도 기준으로 인정 가능

📌 가구소득 요건

  •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 가구원 구성 기준: 주민등록등본 기준 본인 +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
  • 예시: 4인 가구 기준 1억 7,189만 원 이하
가구원 수기준 중위소득 250%
1인 약 6,685만 원
2인 약 1억 1,047만 원
4인 약 1억 7,189만 원
5인 약 2억 78만 원

* 더 자세한 내용은 서민금융 진흥원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 3. 기여금 지원 혜택 (2025년부터 대폭 강화!)

2025년 1월부터 정부 기여금이 기존 최대 24,000원 → 최대 33,000원으로 인상됩니다.

개인소득(총급여)월 최대 기여금 (2025년 기준)
2,400만 원 이하 33,000원 (9%)
~3,600만 원 이하 29,000원 (7.6%)
~4,800만 원 이하 25,200원 (6.7%)
~6,000만 원 이하 21,000원 (6.0%)
~7,500만 원 이하 없음 (비과세 혜택만 적용)
 

🔎 기여금은 월 납입금의 일정 비율로 지급되며, 월 최대 납입한도는 70만 원입니다.
→ 정부기여금 + 은행이자 + 우대금리 합산 시, 최대 연 9.54% 수익률 가능!

 

Q. 기여금이란?

A. 정부에서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추가 납입금을 의미합니다. 개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납입 금액과 소득에 따라 매칭 비율이 달라집니다. 즉, 청년도약계좌에 납입한 금액에 더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지급하여 목돈 마련을 돕는 것입니다.


🏦 4. 신청 방법 & 가입 절차

💡 매월 1~10일 사이 신청 가능 (은행 앱에서)

신청 방법

  1. 취급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메뉴 선택
  2. 기본정보 입력 후 신청
  3.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약 2주간 소득심사 진행
  4. 결과 확인 후 익월 초 계좌 개설 가능

취급은행 앱 종류

필수 절차 요약

  • ① 개인·가구 소득 확인 → ② 정보제공 동의 → ③ 확인통보 → ④ 계좌 개설
  • 서류: 대부분 행정정보 자동 연동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등 필요 시 추가 제출)

🎁 5. 비과세 혜택 + 신용점수 가점까지!

✅ 비과세 혜택

  • 납입액 + 이자 + 정부기여금 전액 이자소득세 면제

✅ 신용점수 가점 제도 (2025년 도입)

  • 2년 이상 유지 + 납입금 800만 원 이상일 경우
    → KCB, NICE 기준 개인신용평가 점수 최소 5~10점 가점

📌 ‘청년도약계좌 납입정보’는 자동으로 신용기관에 공유되어 반영됨


🔐 6.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해지해도 혜택 일부 유지

2025년부터는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하면
기존에는 받지 못했던 비과세 혜택 + 기여금 60%까지 지급 유지가 가능해졌습니다.

  • 예) 3년 후 해지 시 → 기여금 일부 환급 + 비과세 적용

⚠️ 7. 유의사항 꼭 확인하세요!

  • 동일인 기준 1인 1계좌만 가능
  • 현재 청년희망적금 유지 중인 경우 가입 불가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불가
  • 특별한 중도해지 사유(출산, 혼인, 주택 구입 등)가 없는 경우
    → 3년 미만 해지 시 모든 혜택 환수

📋 8. 청년도약계좌 Q&A

❓ 질문💡 답변
기존에 청년희망적금 가입했는데 갈아타기 되나요? ❌ 불가능. 해지 후에도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제한될 수 있음
매달 꼭 70만 원 넣어야 하나요? 아니요, 자유적립식이기 때문에 월 10만~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
납입금액 변경은 언제든 가능한가요? 매월 조정 가능, 단 자동이체 등록 필수
소득기준 초과되면 어떻게 되나요? 기여금 지급 중단, 단 비과세 혜택은 유지
 

📌 마무리 요약

구분내용
가입대상 만 19~34세 청년 + 연소득 7,500만 이하 + 중위소득 250% 이하
월 납입한도 최대 70만 원
기여금 최대 월 33,000원 (2025년 기준)
혜택 정부기여금 + 비과세 + 신용점수 가점
주의사항 중복계좌 금지, 기존 청년희망적금 보유 시 불가
 


✨ 실전 가입 팁!

  • 가입 전에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가족관계 증명서 미리 준비하면 속도 빠름
  • 월 납입액은 소득 수준 따라 맞춤 조정
  • 은행별 우대금리 이벤트도 체크하면 수익률 극대화 가능!

서민금융 진흥원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